저번 프로젝트 때 Jenkins pipeline을 쉘 접속을 활용했던 게 마음에 안 들어서이번 프로젝트에서는 꼭 DooD를 구현하겠다 마음먹고 다시 구현해봤다. 다른 방식으로 구현하면서 깨달은 점이 있다면 1. .env파일은 프로덕션 환경에서 만들거나 관리할 필요가 없다.전부 jenkins credential에 만들어두고 compose up 할 때 환경 변수를 withcredentials 이용하여 주입해주기만 하면 되는 것이었다...!이 사실을 알고 나서 빌드 프로세스의 이해가 쉬워지고, 구현이 간편해졌다.- 그럼 jenkins credential이 무엇이냐?: 환경 변수나 계정 정보와 같은 민감한 정보를 관리해주는 역할을 한다. 2. scm checkout하면 jenkins 아래에 jenkins_wor..